재테크 초보가 절대 알아야 할 금융 용어 20가지
재테크 초보가 절대 알아야 할 금융 용어 20가지
작성일: 2025년 8월 16일
재테크를 시작하려 해도, 자주 듣는 금융 용어들이 어렵게 느껴져 포기하고 싶은 순간이 있지 않으셨나요? 용어만 정확히 알아도 금융 뉴스나 투자 정보를 훨씬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재테크 초보자도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금융 용어 20가지를 쉬운 예시와 함께 설명합니다.
1. 복리 (Compound Interest)
이자에 이자가 붙는 구조입니다. 예를 들어, 1년에 5% 이율로 100만 원을 예치하면, 1년 뒤엔 105만 원이 됩니다. 그다음 해는 이 105만 원에 또 5%가 붙습니다.
2. 단리 (Simple Interest)
원금에만 이자가 붙는 구조입니다. 복리보다 이자 수익이 작지만 계산은 단순합니다.
3. 금리 (Interest Rate)
은행에 돈을 예금하거나 빌릴 때 적용되는 이자율입니다. 예금금리와 대출금리가 있으며, 금리가 높을수록 예금 이자는 많고 대출 이자는 부담됩니다.
4. ETF (상장지수펀드)
주식처럼 거래되는 펀드 상품입니다. 다양한 종목에 분산 투자할 수 있어 초보자에게 인기가 많습니다.
5. 펀드 (Fund)
여러 사람이 모은 돈을 전문가가 대신 운용하는 투자 상품입니다. 직접 투자보다 리스크를 분산시킬 수 있습니다.
6. CMA (Cash Management Account)
수시입출금이 가능한 금융 상품으로, 일반 입출금 통장보다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비상금 통장으로 추천됩니다.
7. IRP (개인형 퇴직연금)
노후 준비용 상품으로, 연말정산 시 세액공제 혜택이 있어 재테크 필수 계좌로 꼽힙니다.
8. ISA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여러 금융 상품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계좌로, 비과세·절세 혜택이 있습니다.
9. 예금자보호
금융회사가 파산해도 1인당 최대 5천만 원까지 보호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10. 신용점수
개인의 금융 신뢰도를 나타내는 점수로, 대출 조건과 금리에 직접 영향을 줍니다.
11. 파킹통장
돈을 잠시 ‘주차’해두는 통장으로, 출금이 자유로운 고금리 통장입니다.
12. 배당금
주식 투자 시 기업이 이익의 일부를 주주에게 현금이나 주식으로 나누어 주는 것입니다.
13. 원리금
원금 + 이자를 합친 금액입니다. 대출 상환 시 ‘원리금균등’ 방식이 자주 등장합니다.
14. 리스크 분산
다양한 자산에 나누어 투자함으로써 위험을 줄이는 전략입니다.
15. 유동성
자산을 현금으로 빠르게 바꿀 수 있는 정도를 말합니다. 예: 예금은 유동성이 높고, 부동산은 낮음.
16. 인플레이션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해 돈의 가치가 하락하는 현상입니다. 장기적으로 자산의 실질 가치를 감소시킵니다.
17. 디플레이션
물가가 하락하고 소비가 위축되는 현상입니다. 경기 침체와 연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18. 마이너스 통장
대출이지만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인출 가능한 상품입니다. 편리하지만 고금리인 경우가 많습니다.
19. 납입금
펀드, 보험, 적금 등 금융상품에 정기적으로 넣는 금액을 말합니다.
20. 세액공제
세금 계산 시 일정 금액을 공제받아 세금을 줄여주는 제도로, IRP나 연금저축 가입 시 활용됩니다.
마무리: 용어부터 알아야 재테크가 보인다
금융 용어는 단순한 개념이 아닌, 내 돈을 지키고 불리는 핵심 도구입니다. 위의 20가지 용어만 제대로 알고 있어도 재테크 관련 정보를 훨씬 빠르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아직 생소하다면, 한 번에 외우려 하지 말고 자주 접하며 자연스럽게 익히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