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IRP와 ISA 비교: 어떤 계좌가 유리할까?
2025년 IRP와 ISA 비교: 어떤 계좌가 유리할까?
작성일: 2025년 8월 17일
절세와 재테크에 관심이 있다면 IRP(개인형 퇴직연금)과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에 대해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하지만 두 계좌 모두 ‘절세’라는 장점이 있는 만큼, 나에게 더 유리한 계좌가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비교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현재 기준으로 IRP와 ISA의 특징과 차이점을 비교하고, 상황별 추천 활용 전략을 안내드립니다.
1. IRP란 무엇인가?
IRP는 노후 자금 마련을 위한 개인형 퇴직연금 계좌입니다. 근로자, 자영업자, 프리랜서 누구나 가입 가능하며, 세액공제 혜택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 ✔ 연 최대 700만 원 납입 시 세액공제 가능 (연금저축 포함)
- ✔ 세액공제율: 13.2% 또는 16.5% (소득에 따라 차등)
- ✔ 운용 가능 상품: 예금, 펀드, ETF, 채권 등
- ✔ 인출: 원칙적으로 만 55세 이후부터 연금 형태로 수령
2. ISA란 무엇인가?
ISA는 여러 금융 상품을 하나의 계좌에서 통합 운용할 수 있는 절세형 통합 계좌입니다. 금융상품의 수익에 대해 비과세 및 분리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 ✔ 연간 2,000만 원 납입 가능, 총 한도 1억 원
- ✔ 3년 이상 유지 시 이자·배당·운용수익 일부 비과세
- ✔ 운용 가능 상품: 예금, 펀드, ETF, 리츠 등 다양
- ✔ 수시 인출 가능 (일부 계좌 유형 제한 있음)
3. IRP vs ISA 핵심 비교표
항목 | IRP | ISA |
---|---|---|
가입 자격 | 만 19세 이상 누구나 | 만 19세 이상 거주자 |
세제 혜택 | 세액공제 (최대 115만 원) | 이자·배당 비과세 (200만 원까지) |
운용 자산 | 예금, 펀드, ETF, 채권 | 예금, 펀드, ETF, 리츠 등 |
인출 조건 | 만 55세 이후 연금 수령 | 3년 이후 수시 인출 가능 |
의무 유지 기간 | 장기 유지 필수 | 3년 이상 |
목적 | 노후 대비 | 단기 + 중기 투자 + 절세 |
4. 어떤 계좌가 나에게 유리할까?
두 계좌 모두 장점이 분명하지만, 사용 목적과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선택이 달라집니다.
- ✔ 절세 + 노후 대비를 원한다면 → IRP 추천
- ✔ 자유로운 인출 + 투자 수익을 원한다면 → ISA 추천
💡 팁: IRP와 ISA는 동시에 가입 가능하며, 병행 활용 시 절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5. IRP+ISA 병행 전략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계좌를 운용해보세요:
- 🔹 IRP: 연 400만 원 납입 → 세액공제 혜택 확보
- 🔹 ISA: 매월 50만 원씩 투자 → ETF 수익에 대한 비과세 효과
IRP는 절세 + 연금, ISA는 절세 + 수익이라는 성격을 갖고 있어 재테크 초보자부터 중상급자까지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결론: 목적과 전략에 따라 계좌를 선택하자
무작정 절세된다고 해서 모든 계좌가 좋은 것은 아닙니다. 자신의 재무 목표에 따라 목적형 계좌를 선택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 단기 자금과 중기 투자가 목적이라면 ISA 👉 장기 노후 준비가 목적이라면 IRP
오늘 바로 금융기관 앱이나 플랫폼에서 계좌를 비교해보고, 내 재무 성향에 맞는 절세 계좌부터 시작해보세요.